Door Icon

단아의 아름다운 "콤핑"

1. 본인만의 필살기 서체가 있나요?

요즘 저의 필살 서체는 pretendard 이에요. 원래 고딕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전에는 애플 산돌고딕 네오를 많이 썼다면 요즘은 프리탠드에 손이 많이 가는 것 같아요. 명확한 기준으로 고른다기보다는 그냥 묘하게… 끌려서 선택하게 되는 느낌. 그냥 이런 시기가 주기적으로 바뀝니다…✌️다음 저의 필살 서체가 뭐가 될 지 저도 궁금하네요.

2. A4 한 장을 꽉 채운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크기의 폰트를 사용하고 싶으신가요?

저는 9pt! 원래도 작은 글자 크기를 선호했는데, 이번 타이포 수업중 인디자인 콤핑을 하고 그날 그날의 취향을 선택해보니 저는 꾸준히 8.5~9.5p 이 안의 크기를 선택하더라구요. 그 중에서도 9pt가 많이 나왔습니다.

3. 평소에 글을 읽을 때, 글 속의 행간을 의식하며 읽는 편인가요?

음… 일반적인 정도에서 크게 벗어난 게 아니라면 딱히 행간을 의식하면서 읽지 않는 것 같아요. 행간보다는 자간이 더 신경쓰이는 것 같습니다… 좁고 넓은 행간을 생각해보자면, 문서를 읽을 때는 좁은 행간이 좋고, 강의록같이 필기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넓은 행간이 좋아요! 저는 단어위에 바로 필기하는 걸 좋아해서요ㅎㅎ.

4. 숏폼처럼 짧게 끊어지는 글줄 vs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우는 길이의 글줄

저는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우는 길이의 글 줄이 좋아요! 저는 시보다 소설을 좋아하거든요. 짧게 툭툭 끊기는 것보다 후루룩 읽으면서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는 게 저한테 맞는 읽기 방식인 것 같아요.

5. 단락을 나눌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읽히는 정도? 제가 글을 쓸때는 단락을 내용 구성에 따라서 나누기는 하는데, 읽는 입장에서는 들여쓰기가 한 숨 돌릴 수 있는 구간같이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형식적인 글이 아니라면 집중이 살짝 떨어지거나 피로할 때 쯤 한 번씩 단락을 나눠줍니다.